134 2 0 3 2 0 1개월전 1

방송대 일본어 번역 연구회가 선정한 고전 단편집

시키의 그림, 넙치 학교, 실패원외

작품 소개 개의 장난기| 섣달그믐날 밤, 멧돼지와 개가 길에서 만난다. 멧돼지는 개가 들고 있는 큰 보따리가 궁금해 뭐가 들어 있냐 물으니 “개띠 아이들이 한 착한 일과 나쁜 일이 들어있어”라고 답하는데… 불볕더위| 세계 최초로 인공눈 제작에 성공한 저명한 물리학자 나카야 우키치로가 냉방시설이 보급되지 않은 시대의 미국 일상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전 세계를 강타한 기록적인 불볕더위 속에서 일본과 미국의 상황은……. 삼촌 집| 먼 시골에 사는 삼촌 집을 다녀와서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은 짧은 동화. 아버지가 돌아오면| 전쟁 중에 공습을 받아 불탄 들판에서 노는 아이가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짧은 동화에 담았습니다. 시키의 그림| ‘나’(나쓰메 소세키)는 시키가..
작품 소개


개의 장난기|
섣달그믐날 밤, 멧돼지와 개가 길에서 만난다. 멧돼지는 개가 들고 있는 큰 보따리가 궁금해 뭐가 들어 있냐 물으니 “개띠 아이들이 한 착한 일과 나쁜 일이 들어있어”라고 답하는데…

불볕더위|
세계 최초로 인공눈 제작에 성공한 저명한 물리학자 나카야 우키치로가 냉방시설이 보급되지 않은 시대의 미국 일상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전 세계를 강타한 기록적인 불볕더위 속에서 일본과 미국의 상황은…….

삼촌 집|
먼 시골에 사는 삼촌 집을 다녀와서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은 짧은 동화.

아버지가 돌아오면|
전쟁 중에 공습을 받아 불탄 들판에서 노는 아이가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짧은 동화에 담았습니다.

시키의 그림|
‘나’(나쓰메 소세키)는 시키가 보낸 그림을 보며 옛 친구에 대한 회한에 젖는다. 병석에 누운 친구는 서툰 솜씨로 쓸쓸한 꽃 그림을 그렸다. 시키는 구름국화(東菊)를 소재로 삼아 자신이 있던 도쿄(東)를 소세키가 있던 구마모토(西)와 대비시키고자 했던 듯하다. 이제는 만날 수 없는 친구에 대한 그리움이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넙치 학교|
하야시 후미코의 고전 명작 동화. 의인화한 넙치가 다니는 바닷속 학교 모습과 다른 물고기 집단을 목가적인 필치로 그렸다. 인간은 바닷속에서 이질적이며 바보 같은 짓(전쟁)을 하는 존재로 평가받는다.

귓불에 난 구멍|
저명한 일본 민속학자가 1938년에 쓴, 야마구치현 최북단의 작은 미시마섬에 내려오는 “뱀을 태연하게 잡는 사람은 귓불에 작은 구멍이 있다”라는 전설이 맞는지 어떤지 추적하는 내용이다. 미시마는 한반도와 마주하고 있는 작은 섬인데 오래전부터 조선 사람들이 건너와 살았고 그 후손에게 그런 재주꾼이 많다는 주장이라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실패원|
솜씨 없는 주인집 뜰에서 자라는 식물들이 본때 없고 초라한 자신들의 행색을 푸념하는 소리를 담은 작품으로 남녀노소 각각의 말투로 표현하여 매우 흥미롭다. 다자이 오사무의 재치와 유머 감각을 엿볼 수 있다.

방송 광고 엄금 시대|
일본에서 광고가 허용된 민영 방송이 시작된 건 1951년이다. 이 글은 민영 방송 수립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던 1946년에 발표되었다. 유명 아나운서인 필자는 과거 방송 광고를 엄금하던 시절의 웃지 못할 에피소드들을 소개하며 민영 방송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한다.

세토 내해의 파도 소리|
세토 내해 히로시마 출신인 작가가 어둡고 황량했던 성장기의 고향을 더듬어 보는 글이다. 냉소적인 시각으로 고향을 애써 외면하지만, 작품에 드리워진 세토 내해의 아름다운 풍정과 채 수습하지 못한 고향에 대한 애정 한 자락이 귀엽다.
지은이

유메노 규사쿠(夢野久作)|
1889~1936년. 후쿠야마 출생. 소설가, 추리 작가, 시인. 본명은 스기야마 다이도(杉山泰道). 일본 정치계 거물 스기야마 시게루 차남. 필명 ‘유메노 규사쿠’는 후쿠야마 방언으로 ‘몽상가’. 에도가와 란포, 오구리 무시타로와 더불어 일본 1920~30년대 미스터리 소설 대표 작가다. 그의 작품에는 기괴함과 환상, 호러적 색채가 강하며 독백체와 서간체 형식에 능숙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1936년 갑작스러운 뇌출혈로 사망. 저작은 일본 미스터리 3대 기서(奇書) 중 하나인 《도구라 마구라》 《오시에의 기적》 《병 속의 지옥》 등.

나카야 우키치로(中谷宇吉郎)|
1900~1962년. 이시카와현 출생. 물리학자, 수필가, 홋카이도 제국대학 이학부 교수. 세계 최초로 인공눈 제작에 성공. 저서는 《과학의 방법》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북극의 얼음 아랫마을》.

오가와 미메이(小川未明)|
1882~1961년. 니가타현 출생. 소설가. 아동문학 작가. 본명은 오가와 겐사쿠(小川健作). ‘일본의 안데르센’, ‘일본 아동
문학의 아버지’라 불리며 하마타 히로스케(浜田広介), 쓰보타 조지(坪田譲治)와 함께 3대 아동문학 작가로 꼽힌다. 1904년 잡지《신소설》에 〈방랑아〉로 데뷔. 저서는 《빨간 배》 《시계가 없는 마을》 《들장미》 《달밤과 안경》 외 1,200여 편의 동화.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1867~1916년. 소설가, 영문학자, 비평가. 일본 최초의 근대 문학가이자 메이지 시대의 대문호. 저서로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풀베개 》 《도련님》 등 다수.

하야시 후미코(林芙美子)|
1903~1951년. 소설가, 시인. 쇼와 시대의 대표적인 여성 문학가이다. 불우한 어린 시절을 담은 자전적 소설 《방랑기》(1928)로 일약 인기 작가 반열에 올랐다. 어두운 현실의 생생한 묘사와 서민 생활에 공감하는 작풍이 인상적이다. 대표 저서는 《뜬구름》 《밥》 등.

야나기타 구니오(柳田國男)|
1875~1962년. 관료, 일본 민속학의 창시자. 도쿄제국대학 법과대학 졸업. 고급 행정관료, 귀족원 서기 관장, 추밀 고문관 등 역임. 《정본 야나기 구니오집》(전 31권, 별권 5권), 《신 야나기 구니오집》(전 12권) 등 민속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1909~1948년. 소설가. 1936년 첫 작품집 《만년》을 출간하였으며 대표작 《인간 실격》을 비롯해 《달려라 메로스》 《쓰가루》 《사양》 등 작품 다수. 1948년 연인 야마자키 도미에와 다마가와조스이에서 투신자살.

와다 노부카타(和田信賢)|
1912~1952년. 도쿄 출생. 아나운서. 1934년 NHK(당시 일본방송협회)에 입사하여 주로 스포츠 중계를 맡았다. 1945년 8월 15일 종전 방송을 진행하고 종전 조서를 낭독했다. 1952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을 중계하고 귀국하던 중 경유지인 파리에서 수면 부족으로 치료 중 사망.

스즈키 미에키치(鈴木三重吉)|
1882-1936. 히로시마현 출생. 소설가, 아동문학가. 일본 아동문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진다. 나쓰메 소세키의 추천으로 1906년 《지도리》가 잡지 《소토기스》에 게재. 소설가로서 명성을 얻었지만, 딸을 위한 동화집 창작을 계기로 아동문학에 집중하여 1918년 아동문학지 《붉은 새》를 창간, 아동 존중의 교육 운동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저서는 《고사기 이야기》 《작은 새의 둥지》 《뽕나무 열매》 등 다수.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